Exhibition

Hazy Scenes

                                                        
                                                    

2023.10.19 (Thu) — 2023.11.16 (Thu)

정원:50명
	                                                   
	                                                
	                                                   
	                                                
Show More +

김재원 개인전 《Hazy Scenes》
2023.10.19. – 11.16.

관람시간
오후 2시 – 오후 8시
월, 화 휴관

관람료
무료

기획·글: 이규식
번역: 류다연
그래픽 디자인: 이건정
사진 기록: 김진현
설치 지원: 한지영
후원: 서울문화재단, 서울특별시, 엘리펀트스페이스

이 글을 읽을 당신께 To whom may it concern

“우리들은 이곳에서 무엇을 찾을 수 있을까.”

그들은 어둠이 짙게 드리워진 숲 속을 거닌다. 무언가를 찾고 있었던 것일까? 그렇지 않으면 어딘가를 통과해 나가고 있던 것일까? 손전등의 약한 불빛만을 의지한 채 수풀을 헤치며 걷는 그(들)의 시선이 불안한 듯 흔들린다. 지나간 일들을 떠올리는 모습을 지켜보며, 우리는 과거에 그들이 어떤 중대한 사건을 겪었음을 어렴풋하게 느낀다. 그 사건에는 아주 필수적인 정보들이 누락되어 있다. 지난날의 소회를 이어가는 말들 속에는 주체도, 대상도, 시기도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예전으로 돌아갈 생각이 없다”는 것이다. 자전적인 경험에서 출발하는 이야기에서 김재원은 디테일한 장면들을 탈락시킨다. 흐릿해진 풍경 속에는 그것의 정수만이 남아 특정할 수 없는 이들에게 보편적인 이야기의 형태로 전해진다. 그의 독백은 나의 기억이 되고, 저마다의 기억은 우리들의 이야기가 된다.

영상과 사진으로 구성된 김재원의 개인전 《Hazy Scenes》는 제목이 암시하듯이 흐릿한 이미지로 가득하다. 흔들리는 영상과 흐린 사진들은 피사체의 디테일을 삭제하여 그것이 무엇이었는지 특정하기 어렵게 만들고, 개별성을 지워가는 대신 보편성을 획득한다. 좌대 위에 배치된 사진 이미지는 <뉘앙스 Nuance>(2022)에서 텍스트와 결합하여 선형적인 맥락으로 보여졌다. 그는 전작에서 최소한으로 제시했던 내러티브까지 삭제하면서, 관객들로 하여금 맥락이 사라진 이미지와 각자가 가진 경험과 인상들을 조합하여 오롯이 자신만의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내도록 권유한다. 불투명함과 불확실성을 작업과 디스플레이 방식에 전면적으로 내세우면서 김재원은 다시금 나와 작품, 타인(관객)과 세계 사이의 거리를 재탐색한다.

영상의 서두와 말미에 등장하는 어딘지 익숙한 풍경은 시력 측정을 위한 굴절 검사기에서 사용되는 이미지이다. 푸른 초원 위에 위치한 빨간 지붕의 집은 또렷해지고 흐려지기를 반복하다 이내 흐릿하게 사라진다. 우리의 눈은 피사체를 향해 초점을 맞추는 카메라의 기계적인 메커니즘과 유사하게, 가깝고 멀리 있는 물체를 보다 정확히 보기 위해 수정체를 통해 상을 굴절시킨다. 외부의 물체와 나의 경계를 구분 짓고 그것과 나 사이의 거리를 정확하게 인식했을 때 비로소 선명하게 떠오르는 상은 결국 세계와 내가 결코 하나가 될 수 없다는 것을 반증하기도 한다. 손에 닿지 않을 허구의 집을 바라보며 다시는 오지 않을 지난날의 시간들, 그리고 영원히 도달할 수 없는 평온과 안식의 장소가 머릿속을 스쳐 지난다.

나는 아직 미공개된 한 글에서 김재원의 작업들이 선형적인 속성을 지닌다고 서술한 바 있다. 영상 속 중요한 정보들이 유실된 텍스트들 가운데, 전작부터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단어나 문장들의 흔적을 발견할 때마다 다시금 그러한 속성을 떠올리게 된다. 예컨대 ‘좁은 틈’(<뉘앙스>)이라든지, ‘삼키고(소화)’, ‘뱉는(게워내는)’(<뱉는 일과 삼키는 일>(2021))과 같은 표현들처럼 말이다. 조각난 내러티브 사이에서도 여전히 남은 자전적인 경험의 흔적들 속에서 우리는 그가 세계를 받아들이고 살아가는 태도를 엿볼 수 있다. 모든 일들은 앞선 사건으로부터 이어지며, 지나온 시간은 되돌릴 수 없다. 김재원의 작업은 두 눈을 부릅뜬 채 낙천적으로 스스로나 타인을 위로하거나, 반대로 두 눈을 질끈 감고 절망이나 무기력으로 추락하지 않는다. 반쯤 뜬 눈으로 모두가 잠든 시간에 어두운 숲길을 흔들리며 걸어가듯이, 나의 세상을 감각하고 삶의 여정을 묵묵히 이어 나간다.

“그래서 결국 무엇을 찾았는가?”

그가 찾으려고 한 것은 나를 벗어난 세계에 존재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우리가 그토록 찾아 헤맨 것은 어쩌면 저 멀리의 무언가가 아니라 나 자신이 아니었을까? 거대한 파도처럼 밀려오는 세상 앞에서 지나가는 시간들을 때로는 삼키고 또 때로는 게워 내면서, 대단한 변화를 일으키기보다는 묵묵히 견뎌내며 자기 앞의 생을 살아가는 그와 나와 그리고 우리의 모습을 그려본다. 영상 속 네거티브로 변환된 이미지들은 마치 엑스레이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지점들을 거꾸로 뒤집어 보여주며 껍질 이면의 존재와 먼지보다 작은 나를 상상하게 한다. 흐린 안개 속에 뒤덮여 어느 것도 선명하지 않은 시간 속에 맡겨진 우리들은, 불안해하기보다 앞으로 한 걸음을 내딛는다.

■ 이규식(큐레이터)

[작가소개]

김재원(b. 1991)은 영상, 사진, 언어를 기반으로 퀴어와 HIV/AIDS의 확장성을 탐구하며,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을 다층적 경험의 맥락에서 서술한다. 그의 작업은 질병이 가진 힘이 가려지고 배제되는 존재들의 의미와 접촉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질문과 추적을 진행한다. 개인전 《Romantic Fantasy》(공간 사일삼, 서울, 2021), 《그때 벨이 울리지 않았다면》(ROOM 806-2, 서울, 2020)을 개최하였으며, 《DWA2022: Being & Belonging》(휘트니 미술관, 뉴욕, 2022), 《서울국제프라이드영화제》(서울, 2021), 《부산국제비디오아트페스티벌》(공간 힘, 부산, 2017) 등에서 작품을 상영하였다. 이외에도 Metro Arts(브리즈번, 2023), WESS(서울, 2023), Fragment Gallery(뉴욕, 2023),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서울, 2023), Asian Arts Initiative(필라델피아, 2023), 울산시립미술관(울산, 2022) 등에서 열린 그룹전에 참여하였다.

Jaewon Kim Solo Exhibition 《Hazy Scenes》
2023.10.19. – 11.16.

Opening hours
14:00 - 20:00 (Closed on Mondays, Tuesdays)

Entrance fee
Free


Curator: Gyusik Lee
Translation: Dayun Ryu
Graphic Design: Gunjung Lee
Photography: KIM Jinhyeon
Installation Support: Jiyoung Han
Sponsored by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Elephantspace

To whom it may concern


“What can we find in this place?”

They wander through the densely shadowed forest. Were they in search of something? Or were they making their way through somewhere? With nothing but the meager glow of a flashlight, his/their eyes anxiously tremble as they comb through the grass. Seeing them recall times past, we have an inkling that they have undergone some significant incident in the past. Key details of that event are conspicuously absent. Their words of recollection offer no clarity on the protagonist, subject, nor timeframe. One fact, however, remains certain: “[they] never wanted to return to that time.” Though based on personal experiences, Jaewon Kim omits specificity from the scenes. Amidst the haziness, only the essence remains with the story unfolding as a common narrative with undefined protagonists. His monologue becomes my memory, and each individual’s memory becomes our shared story.

As suggested by the exhibition’s title, Jaewon Kim’s solo exhibition Hazy Scenes consists of videos and photographs replete with indistinct images. Shaky videos and blurry photographs obfuscate the finer details of the subjects, making it difficult to explain what had appeared, and by stripping away the particularities, a sense of universality is attained. The photograph displayed on top of the pedestal had previously been juxtaposed with text in Nuance (2022), forming a linear context. By removing the narrative that was already only minimally present in this work, Kim invites viewers to interweave their personal experiences and impressions with the image where contextual particularity has disappeared, giving way to entirely new narratives. Placing emphasis on obscurity and uncertainty in his works and display method, Kim once again recalibrates the distance between me and the artwork, in other words, the other (viewer) and the world.

In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video, a familiar scene unfolds–it is an image found in a refractometer used for measuring eye vision. A house with a red roof atop a green field repeatedly pulls in and out of focus before eventually dissipating into a blur. Akin to the technical mechanism of a camera focusing on an object, our eyes refract light through the lens to see objects both near and far more clearly. The image sharpens only when one visibly separates the external object from oneself and senses the distance between them, challenging the notion that the world and the self can ever become one. Looking at the fictional house that will always be out of reach, memories of the bygone days that will never return and the period of peace and rest that will forever be unattainable grazes past my mind.

In a writing that is yet to be published, I have noted that Kim’s artworks manifest a sense of linearity. Despite key details missing in the video, parts of the text include recurring words and phrases that draw a cohesion with his earlier works. These include expressions such as ‘narrow chasm’ (from Nuance, 2022), or ‘swallowed (ingest)’ and ‘spit (regurgitate)’ (from Spit and Swallow, 2021). Within these fragmented narratives, traces of personal experience remain discernible, offering a glimpse into the way in which Kim engages with and inhabits the world. Every incident is a continuation of what came before, and time cannot be reversed. Jaewon Kim’s work is a practice in keeping one's eyes wide open and extending an optimistic solace to oneself or the others, or conversely, a resistance to succumbing to despair and lethargy with both eyes tightly shut. While others are in deep slumber, I steadfastly sense the world and navigate through the journey of life as if walking through a darkened forest path, with unsteady steps and eyes half-open.

“In the end, what did we find?”

What he sought after may not have existed in the world beyond me. Is it possible that what we so desperately searched for was not something in the great distance, but perhaps within ourselves? Confronting a world rushing in like big waves, I do not pursue a profound change but rather an unfaltering perseverance, swallowing the moments fleeting by at times and regurgitating them at other times. And in the midst of it all, I envision him, me, and us embracing the life that lies ahead. Presented as negatives in the video, the images, much like x-ray scans, reveal the realms imperceptible to the naked eyes in reverse, prompting contemplation of signs of life beneath the skin and my existence as smaller than specks of dust. Blanketed under the hazy fog of time where everything is undefined, we do not fret, and instead take a step forward.

■ Gyusik Lee (Curator)

[Artist Bio]

Jaewon Kim (b. 1991) primarily utilizes video, photography, and writing to explore the expansive nature of queerness and HIV/AIDS, contextualiz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s multi-layered experiences. His work questions and traces how the force of the disease reshapes the meaning of and encounter with the invisible and excluded. His recent solo exhibitions include “Romantic Fantasy” (SPACE Four One Three, Seoul, 2021), “Back then, If Bell Doesn't Ring” (ROOM 806-2, Seoul, 2020). His videos have screened at “DWA2022: Being & Belonging”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New York, 2022), “Seoul International PRIDE Film Festival” (Seoul, 2021), and “Busan International Video Art Festival” (Space Heem, Busan, 2017). He has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s at Metro Arts (Brisbane, 2023), WESS (Seoul, 2023), Fragment Gallery (New York, 2023), Buk-Seoul Museum of Art (Seoul, 2023), Asian Arts Initiative (Philadelphia, 2023), Ulsan Art Museum (Ulsan, 2021) among many others.

Protagonist, Undefined 불특정 주인공, 2023, Single-channel video, color, sound, 9min 42sec
Skins 허물, 2023, Pigment print, 17.7 x 12.7, 12.7 x 17.7 cm (each)
Body Temperature 체온, 2023, Digital C-print, 35 x 25 cm (each). Commissioned by HIV Science as Art
Home 홈, 2023, Pigment print, 30 x 30 cm (each)
《Hazy Scenes》 전시 전경

예매 및 환불규정



예매취소조건

관람일 1일전까지 티켓 금액의 100% 전액 환불됩니다.
관람일 당일에는 전액 환불 불가합니다.
구분 환불수수료 비고
관람일 1일 전 0% 전액 환불
관람당일 100% 전액 환불 불가

취소환불 및 결제방법

My page > 나의 예매 내역에서 직접 취소 가능합니다.

무통장결제(가상계좌)시 입금 기한은 2일 입니다.
입금기한 내에 미입금시 티켓은 자동 취소 됩니다.

인원변경이나 날짜 변경을 할 경우에는, 예매내역을 전체 취소하신 뒤 다시 예매하셔야 합니다.

기타 문의는 엘리펀트스페이스 이메일 또는 카카오플러스친구를 통해 해주세요.
이메일: info.elespace@gmail.com
카카오플러스친구: 엘리펀트스페이스